가전제품 1등급 제품 사면 환급 받는게 있었는데... 하는 막연한 기억에 검색하고 들어오셨나요? 한전의 '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'은 전기요금 복지할인 가구를 대상으로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시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에너지 절약과 가계 부담 경감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습니다. 이번에 이사하면서 가전을 새로 사는데, 마침 이사가전 비용을 환급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 알아보았습니다.
목차
- 사업 개요
- 지원 대상
- 지원 방법
- 지원 가능 가전제품 목록 (추가)
- 지원 제외
- 필수 증빙서류
- 자주 묻는 질문 (추가)
1. 사업 개요
한전은 전기요금 복지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 구매 시 일부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 사업은 에너지 절약과 가계 부담 완화를 동시에 목표로 합니다. 가구당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, 지원 비율은 가구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.
2. 지원 대상
지원 대상은 한전의 전기요금 복지할인 가구이며,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.
- 30% 지원 대상: 중증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생활수급자, 사회복지시설, 차상위계층, 생명유지장치 사용자 등
- 15% 지원 대상: 다자녀 가구, 대가족(5인 이상), 출산가구 등
과거 동일한 사업에서 지원받은 금액이 있을 경우, 해당 금액을 차감한 한도 내에서 추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3. 지원 방법
지원 대상자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가전제품을 온·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한 후,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구매 기간: 2025년 1월 1일 ~ 12월 31일
- 신청 기간: 2025년 2월 17일 오후 2시 ~ 12월 31일
- 신청 방법: 한전 공식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
4. 지원 가능 가전제품 목록
지원 가능한 가전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. 단, 모든 제품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이어야 합니다.
- 냉장고
- 세탁기
- 건조기
- 공기청정기
- 에어컨
- 김치냉장고
- 전기밥솥
- 제습기
해당 품목 이외의 가전제품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5. 지원 제외
다음과 같은 경우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.
-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라벨이 없는 제품
- 구매 기간 이전 또는 이후에 구매한 제품
- 구역전기사업자(예: 일부 아파트 관리사무소)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경우
6. 필수 증빙서류
신청 시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.
- 신청자 신분증 사본
-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라벨 사진
- 제품 제조 명판 사진
- 구매 영수증 또는 거래내역서
- 주민등록등본 (신청자와 가구원이 다를 경우 필요)
파일은 5MB 이하의 JPG, PNG, PDF 형식으로 제출해야 하며, 가독성이 낮을 경우 보완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7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?
A1. 신청 후 서류 심사가 완료되면, 최대 2~3개월 이내에 신청자의 계좌로 지급됩니다.
Q2. 동일한 제품을 여러 개 구매하면 모두 지원받을 수 있나요?
A2. 아니요. 동일한 가전제품을 2대 이상 구매하더라도 1대만 지원됩니다.
Q3. 중고 가전제품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A3. 아니요. 반드시 새 제품이어야 하며, 중고 제품은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.
Q4. 지원금 신청 후 취소할 수 있나요?
A4. 가능합니다. 다만, 신청 취소 후 재신청 시 기존 제출 서류를 다시 제출해야 합니다
'일상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고가구 중고가전 리퍼가구 싸게 사는법 강동 리사이클 시티 중고가전 내돈내산 후기 (0) | 2025.03.17 |
---|---|
용산구 임산부 백일해 무료 예방접종병원, 백일해 원인 및 사망 위험, 가족 접종, 무료접종 방법, 접종기관찾기 (0) | 2025.02.15 |
무주택자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dsr (1) | 2024.11.11 |
다이렉트 웨딩 가성비 결혼식 직접 해보니 후회되는 점, 주의해야 할 점, 비추 이유 (7) | 2024.10.27 |
임신초기강릉 뚜벅이 여행 고민끝에 다녀오고 느낀점, 임산부 여행 주의할 점, 여행 일정, 음식, 식당 추천 (4) | 2024.10.22 |